GALLERY

축제-진달래

목록으로
전시중
작품 일련번호 WENG-RKEA-JCWA-XEF7
출품 에이전시 가이덤재단
출품형식 표시 제시출품(단품)
출품자(작가) 이태길(0315taegillee) / Lee Taegil
작품분류 및 규격 평면작품
작품명 축제-진달래
작품재료 및 형식 oil on canvas
제작년도 2015 년
작품가격 25,000,000 원
인증서
인증기관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작품평론 仁松 이태길의 최근작.
‘상생’과 ‘화합’을 기원하는 해원解冤의 이미지

서영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이태길 화백은 지난 2000년대부터 ‘축제’라는 화합의 주제로, 한민족의 통합을 염원하는 회화작품들을 선보였다. 그리고 이 ‘축제’의 주제는 그의 최근작들에까지 연이어지고 있다. 다만 작품의 중심에 있던 구체적 인간 형상들 혹은 민족성을 상징하는 십장생, 달항아리, 백두산 천지, 같은 형상들이 이제는 추상적 기호로 바뀌어 있다. 그런데 그림 앞으로 조금만 가까이 다가가 보면, 화면에 등장한 추상적 기호 하나하나가 모두 서로 손과 발을 맞잡고 있는 인간들임을 알게 된다. 잭슨 폴록의 전면균질의 회화(all over painting)에서처럼, 상하좌우 가리지 않고 천지사방으로 이어지는 인간 모습의 군상은 그야말로 시야의 한계를 넘어서 유기체적 기호들의 집합체로 다가온다. 이들의 무수한 반복 덕분에, 전체 화면이 프레임 바깥으로 확장되는 듯하고, 심지어 무한대로 펼쳐진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 과거의 《축제》 연작에서 등장 인원이 그렇게 많지 않았다면-많아봤자 20여명 정도였다-, 최근작에서는 한 화면 안에 수백 명의 군중의 움직임이 등장하여, 관객의 시선을 한껏 포화시킨다.
필자는 인송 화백의 최근작에서 관객의 시선을 화면 중심으로 집중시키기보다, 인물상들의 끝없는 반복과 연결을 통해, 시선을 확산시키는 표현법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로서 작가는 그간의 안으로 접힘의 미학에서 마침내 펼침의 미학에로 전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떤 메시지의 접힘에는 분석적으로 해석해야 하는 방법이 따르겠지만, 펼침의 메시지에 대해서는 서로에 대한 융통성 있는 이해와 소통의 해석이 필요하다. 필자의 이런 생각을 떠받쳐주듯, 화면 위에 펼쳐진 군상의 장관spectacle은 그야말로 우주적 상생의 기운으로 진동한다. 비단 우리 한민족에로 국한되어야 할까? 단언하건대 전 세계의 인류가 이 상생의 장엄한 공간 안에서 서로 연결된 채 위, 아래 없는 관계의 네트웍을 보여준다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모두가 서로 통합된 장field 안에서 생명의 기운을 교환하며, 서로 화합하는 마음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전개해나간 작가의 막힘없는 실험정신에 찬사를 보낸다.
그런데 인송 화백의 그간의 작업 여정을 살펴보면, 사람과 만물이 모두 함께 어우려져 살아가는 화합의 축제를 일관되게 표현해왔다. 그런 사실에 비추어 필자는 우리 전통 문화의식의 근원인『주역』의 상생 사상을 더 천착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같이 살아간다’는 뜻은 윤리적 차원에서도 당위성이 있으나, 한민족의 근대사와 분단의 역사적 사실에서 더 큰 의미를 지니는 개념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주역』의 음양오행설을 통해 우주 순환에서 대립적 상극이 아닌 상생을 더 강조했던 내용을 참조하면서, 반목과 불평등, 차별, 원망과 원한을 해소하는 상생의 ‘해원’(解冤)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는 편이 효율적이리라고 본다. 사실 인송 화백의 최근작은 일체 현상의 대립과 반목을 완전히 해소하는 보편적 추상 이미지로 자리 잡고 있다. 민족의 내외적 모순과 갈등에서 벗어나 서로를 부둥켜안고 살아가는 상생의 모습은 필연적으로 ‘해원’의 단계를 先-실천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이런 과정의 실천이야말로 새로운 세계를 펼치게 하는 원리가 된다.
따라서 인송 화백의 최근작은 진정한 평화가 이룩되길 기원하는 상생과 화합의 이미지들이며, 묵은 원망을 푸는 해원의 소망을 담은 그래서 더불어 순연하게 살아가는 한민족 군중의 이미지들로 해석이 된다. 각각의 개별자가 주체이면서, 개별자들이 한 덩어리로 모인 집단에서는 내가 아닌 상대방 타자를 위하는, 그리고 내가 존재하기 위해 타자가 반드시 존재해야만 하는 공동체,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의미로 해석해도 되지 않을까? 화백이 묘사한 최근의 《축제》 연작은 이런 점에서 해원상생(解寃相生)을 표상하는 연작으로서 조형성의 개별화를 이루어냈다. 찬사와 함께 확장성이 펼쳐지길 확신한다.
작가론 작가노트
나의 작업은 축제에서 시작된다.
옛 조상들이 이 땅에 농사를 지으면서부터 하늘을 경외 시 했고 그로 인한 축원과 함께 서로의 단합으로부터 손에 손을 잡고... 결국에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와 관계들로 얽히고 섞여가며 싸우기도 하고 협력과 화합하면서 살아왔다. 축제란 무엇인가 ? 기쁨과 슬픔이다. 한국인의 축제는 우리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성정의 발로다. 우리 민족은 흥이 많고 가무가 뛰어난 민족이다.

축제는 공동체의 삶을 더욱 결속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동체의 삶이 평안을 기도하며 조상 또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일종의 의식, 집단적인 카타르시스를 위해 기능하기도 한다. 보다 많은 사람의 군무 관중으로부터의 뜨거운 호응, 즉 춤추는 자와 거기에 참여하는 자가 일체가 되는 축제야 말로 공동체적인 삶의 한 표상임을 확인 하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나의 작업은 인다라망이다.

인다라망은 인드라의 그물이다. 그물과 그물사이의 투명한 수천의 구슬들이 서로서로 비추며 너와 나 없이 나의 행동이 너의 행위로 서로 인과 법칙에 의해 작용하고 서로 비춘다. 우리는 이렇게 각자 나뉠 수 없는 존재의 서로 비추는 수만 수천의 비춤이 작용하고 반응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그림 속에 담고자하는 것은 바로 조형적인 형태로 변환하는 신명이 아닐까? 근작에서 나는 감축과 축쇄를 통한 기하학적 선과 면으로 예리한 구성의 반복으로 좀 더 평면화 되고 추상화의 길을 가고 있다. 기존의 작업에서는 구상적 윤곽으로 알 수 있었던 것이 맥과 맥을 연결하는 근본 태만이 남고 그 형태는 무한한 평면으로 사라져버리고 공의 세계에 태극으로 돌아간다. 오직 맥과 맥만이 서로서로 연결된 인다라망이자 우리 투르크 인들이 서로서로 연방국들을 일러 케레이(계례)라 부르듯 작업의 평면성은 결속된 거대 연방 국가였던 계례를 상징한다.

또한, 내 작업의 근본 본태는 古朝鮮 건국 신화에 나오는 `弘益人間과 세상으로 나아가 도리로 교화한다`는 `在世理化`의 인본주의적이고 현세주의적인 윤리의식과 철학사상의 특질을 본질로 삼고 있다. 그래서 상생과 평화가 기원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2017. 6. 仁松 이 태 길
작가약력 1. 학력
1959 광주사범학교 졸업
1961-1966 조선대학교 문리대 미술학과 졸업
1972-1974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서양화과 수료

2. 개인전
2022 제 29회 갤러리 Still 초대전
2019 제 28회 TOPOHAUS 개관 15주년 기념 李泰吉 초대展(토포하우스)
2018 제 27회 2018 노원문화예술회관 기획 이태길 초대展(노원문화예술회관)
2018.10,22 제 26회 2017 문화예술상 기념 초대전 (지호 갤러리)
2017.12.14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상 오지호 미술상 본상 수상
2017.07.10-08.27 금보성아트센터 초대전(개인전 25회)
2015 함평 군립미술관 기증전
2013 함평 군립미술관 -국향 대제전 기념 특별 초대전
2012 금호미술관(서울)
2008 국보갤러리(서울)
2006 한국일보미술관(서울)
2005 명갤러리 (서울)
2004 갤러리 봄 (여주) 2002 남도 예술회관(광주)
2001 상갤러리(서울)
1993 아그배갤러리 (전주)
1987 롯데 미술관(서울)
1985 롯데 미술관(서울)
1984 중앙미술관(서울)
1983 태백화랑(대구)
1982 석영화랑(서울)
1981 롯데화랑(서울)
1980 태백화랑(대구)
1979 원화랑 (서울),덕수미술관(서울)
1978 서울미술회관(서울), 전일회관(광주)등 3회
(총 29회)

3. 단체전, 기획전, 경력
1982~ 2018 신작전 창립 이후 신작전 회원전
2002~ 2018 무진회 회원전
2011 세계미술교류협회 창립 30주년 기념 "자연과 인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2010 "2010 한국미술대조망전"(서울미술관, 서울)
한국예문회전(제주현대미술관, 제주)
2008 WAF(Word Artist Festival)(세종문화회관, 서울)
2007 1970년대 한국미술 "국전과 민전"(한가람미술관, 서울)
2006 1950~60년대 한국미술 "서양화 동인전"(한가람미술관, 서울)
2005 한국 구상회화의 위상전(서울시립 경희궁분관, 서울)
GIAF광화문 국제아트페스티벌(세종문화회관, 서울)
중진 원로 작가 초대전(서울시립 경희궁 분관, 서울)
2004 "동방의 열전"(세종문화회관, 서울)
걸어온 10년 가야할 100년(광주비엔날레 기획전, 광주)
2003 한국&인도 현대 미술전(세종문화회관, 서울)
광주 시립 미술관 개관 기념 초대전"남도의 서정"전(광주시립미술관, 광주)
미주한인 이민 100주년 기념 한국작가 100인 초대전 Contemporary Art of Kore
(LA한국문예회관, Los Angeles)
2002 천개의 사유, 천개의길"대한민국 청년비엔날레02"(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한/중 수교 10주년 기념 "동방의빛깔전"(세종문화회관, 서울)
1993 '93 화랑 미술제(예술의 전당미술관, 서울)
1988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기념"한국현대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85 중견 구상 작가 11인전(이화갤러리, 서울)
1979 제2회 미술단체 초대 연립전(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총 500 여회)

4. 작품매도 경력
2002 행정자치부정부청사관리소, 2013 서울시립미술관, 2013 광주시립미술관, 2014 청주화랑, 2017 함평군립미술관등
비고